정\(2n\)각형(\(n\ge 3\))의 세 꼭지점을 연결해 만든 삼각형중에서
$$\text{예각삼각형의 개수:둔각삼각형의 개수}=1:3$$
이 글에서는 정\(2n\)각형에서 \(1:3\) 법칙이 성립하는 이유를 알아보고 활용방법을 생각해보겠습니다.
\(1:3\)법칙이 성립하는 이유-대응의 원리
예각삼각형의 개수와 둔각삼각형의 개수 사이에 \(1:3\) 법칙이 성립하는 이유는 대응의 원리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즉, 정\(2n\)각형의 꼭짓점 중에서 세 개를 골라 만들어 지는 모든 예각 삼각형은 그에 대응하는 세 개의 둔각삼각형을 찾을 수 있습니다.
1. 예각삼각형 하나 그려보기
예각삼각형과 둔각삼각형의 대응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예각삼각형 \(2n\)각형의 세 꼭짓점을 연결해서 예각삼각형 \(\mathrm{ABC}\)를 하나 만들어줍니다.
2. 정\(2n\)각형의 외접원과 중심 표시하기
다음으로, 정\(2n\)각형의 외접원과 중심을 표시해 줍니다. 이 원의 성질을 이용해 예각삼각형 \(\mathrm{ABC}\)에 대응하는 둔각삼각형을 만들어 줄 것입니다.
3. 둔각삼각형 \(\mathrm{A’BC}\) 만들기
정\(2n\)각형의 모든 꼭짓점은 외접원의 중심에 대해 대칭이 되는 다른 꼭짓점을 갖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예각삼각형의 한 꼭짓점 \(\mathrm{A}\)과 외접원의 중심\(\mathrm{O}\)를 연결하는 지름을 그리면, 이 지름은 반드시 점\(\mathrm{A}\)와 중심\(\mathrm{O}\)에 대해 대칭인 점\(\mathrm{A’}\)를 지나게 됩니다.
이제 점\(\mathrm{A’}\)를 예각삼각형의 변\(\mathrm{BC}\)의 양끝에 연결해 주면 이 예각삼각형\(\mathrm{ABC}\)에만 대응하는 둔각삼각형\(\mathrm{A’BC}\)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둔각삼각형 \(\mathrm{A’BC}\) 이 예각삼각형 \(\mathrm{ABC}\)와 일대일 대응이 되는 이유는 두 삼각형이 두 개의 동일한 꼭짓점 \(\mathrm{B}\)와 \(\mathrm{C}\)를 사용하고 있고, 점\(\mathrm{A}\)와 점\(\mathrm{A’}\)는 서로가 서로에 대해 외접원의 중심 \(\mathrm{O}\)에 대한 유일한 대칭점이기 때문입니다. 즉, 점\(\mathrm{A}\)에 대해 점\(\mathrm{A’}\)를 결정하는 방법이 \(1\)가지 뿐이므로 (이것은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점\(\mathrm{A’}\)에 대해 점\(\mathrm{A}\)를 결정하는 방법은 \(1\)가지 뿐입니다.) 예각삼각형 \(\mathrm{ABC}\)와 둔각삼각형 \(\mathrm{A’BC}\)사이에는 일대일 대응관계가 존재합니다.
4. 둔각삼각형 \(\mathrm{AB’C}\) 만들기
이번에는 점\(\mathrm{O}\)에 대해서 점\(\mathrm{B}\)와 대칭인 점\(\mathrm{B’}\)와 선분\(\mathrm{AC}\)의 양끝을 연결하여 두번째 둔각삼각형\(\mathrm{AB’C}\)를 만들어줍니다. 앞에서 예각삼각형 \(\mathrm{ABC}\)와 둔각삼각형 \(\mathrm{A’BC}\)사이에 일대일 대응관계가 존재한 것과 같은 이유로, 둔각삼각형 \(\mathrm{ACB’}\)과 예각삼각형 \(\mathrm{ABC}\)사이에는 일대일 대응 관계가 존재합니다.
5. 둔각삼각형 \(\mathrm{ABC’}\) 만들기
마지막으로, 점\(\mathrm{O}\)에 대해서 점\(\mathrm{C}\)와 대칭인 점\(\mathrm{C’}\)와 선분\(\mathrm{AB}\)의 양끝을 연결하여 두번째 둔각삼각형\(\mathrm{ABC’}\)를 만들어줍니다. 앞의 두 둔각삼각형때와 같은 이유로 이 둔각삼각형 \(\mathrm{ABC’}\)과 예각삼각형 \(\mathrm{ABC}\)사이에는 일대일 대응 관계가 존재합니다.
이상에서, 예각삼각형 \(\mathrm{ABC}\)에 대응하는 둔각삼각형의 개수는 \(3\)개 이므로, $$\text{예각삼각형의 개수:둔각삼각형의 개수}=1:3$$
활용1:예각삼각형과 둔각삼각형의 수
모든 삼각형은 삼각형의 내각의 크기를 기준으로 직각삼각형, 예각삼각형, 둔각삼각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예각삼각형의 개수와 둔각삼각형의 개수의 비가 \(1:3\)이기 때문에, 정\(2n\)각형의 세 꼭짓점으로 만들 수 있는 삼각형중에서 직각삼각형을 제외하고 남은 삼각형의 개수를 \(1:3\)으로 비례배분 해주면 예각삼각형과 둔각삼각형의 개수를 셀 수 있습니다.
지름에 대한 원주각이 \(90°\)이므로 직각삼각형을 만들기 위해서는 한 개의 지름을 먼저 선택하고, 지름의 양끝을 제외한 나머지 \(2n-2\)개의 점에서 한 점을 골라 연결해주면 됩니다.
정\(2n\)각형의 꼭짓점 중에서 정\(2n\)각형의 외접원의 중심에 대한 대칭인 점 \(2\)개를 연결하면 지름이 됩니다. 따라서 선택할 수 있는 지름의 개수는 모두 \(2n\div 2=n\)개 입니다.
이상에서, 정\(2n\)각형의 꼭짓점 중 세 개를 연결하여 만들 수 있는 직각삼각형의 개수는 $$\begin{align}
&\text{지름의 수}\times\text{지름의 양끝을 제외한 꼭짓점의 수}\\
&=n(2n-2)\\
&=2n(n-1)\\
\end{align}$$ 이고, 정\(2n\)각형의 꼭짓점 중 세 개를 연결하여 만들 수 있는 삼각형의 개수는 $$_{2n}C_3$$이므로 $$\begin{align}
\text{예각삼각형의 수}=\frac{1}{4}(_{2n}C_3-2n(n-1))\\
\text{둔각삼각형의 수}=\frac{3}{4}(_{2n}C_3-2n(n-1))\\
\end{align}$$
활용2 : 조건부 확률
\(1:3\)법칙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조건부 확률도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문제
정\(2n\)각형의 세 꼭지점을 연결해 만든 삼각형이 직각삼각형이 아니었을 때, 그 삼각형이 예각삼각형이 될 확률은?
풀이
\(1:3\)법칙에 의해, 직각삼각형의 제외한 삼각형주에서 예각삼각형과 둔각삼각형의 개수의 비는 \(1:3\)이므로, 정\(2n\)각형의 세 꼭지점을 연결해 만든 삼각형이 직각삼각형이 아니었을 때, 그 삼각형이 예각삼각형이 될 확률은 $$\frac{1}{4}$$
정말 최고의 고등수학 블로그입니다. 항상 기쁜마음으로 읽고 공부하며 도움받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제 글을 잘 읽어주시고 도움이 되었다고 말씀해주셔서 저도 너무 감사합니다. 댓글을 읽고 흥이 많이 납니다. ^^ 앞으로도 종종 들러주시고 좋은 의견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수학교육과 재학중인 대학생입니다.
옛날에 공부하면서 예각삼각형과 직각삼각형, 둔각삼각형의 개수를 구해 본 적은 있는데 둘 사이에 저런 관계가 있는지까지는 미처 생각하지 못했네요.
직관적이면서도 깔끔한 설명입니다 🙂
늘 둘러만 보다가 이렇게 처음으로 댓글 남겨봅니다.
올려주시는 글들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올 한 해도 잘 마무리하시고 항상 건강하세요!
안녕하세요! 연말 인사 잘 받았습니다. ^^ 감사합니다. 이 문제처럼 여러 문제 사이에 존재하는 대응 관계들은 참 신기한 것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종종 들러주시고 좋은 의견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학기 잘 마무리 하시고 즐겁고 행복한 연말 보내시길 바라겠습니다!
혹시 정2n 각형이아니라 홀수각형일때는저런성질이없나요? 직관적으로 위에설명하신방법처럼하면 있을것같은데요..
이제 운영안하시나요?
안녕하세요. 아직 중단하지 않았습니다! 다른 일들로 요즘 글을 올리지 못했습니다 ㅠ 글감은 계속 준비를 해두었으니 곧 정리해서 올리겠습니다. 관심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말 자세히 설명이 되어있네요 감사합니다
ㅠㅠ바쁘셔서 그런지 새로운 글이 더이상안올라와서 너무 아쉽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최고의 수학블로거이신데
한번도 고민해보지 않았던 내용을 이렇게 일목요연하게 이해하기 쉽게 서술해주시니 감사할 따름입니다. 매번 감사하고 또 감사합니다!!
Lera
깔끔하고 자세한 풀이 덕분에 지금까지도 공부할 때 도움받고 있습니다
우와…대응관계 …너무 멋지고 직관적이네요.
예전에 모 수학강사 싸이트의 한 선생님이 떠오르는 군요 badak샘이라고.
글에서 비슷한 향기(?)가 납니다.
최근 일이년은 바쁘신가 봅니다.
좋은 주제와 글들 기대할게요~
덕분에 저도 많은 공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