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로 이해하는 삼차함수 – f(x)를 f'(x)로 나눈 나머지 (1989, 교토)

\(f(x)\)는 \(x\)의 삼차 다항식이다. \(f(x)\)를 \(f(x)\)의 도함수 \(f'(x)\)로 나눈 나머지가 상수이면, 방정식 $$f(x)=0$$을 만족하는 실근은 1개임을 증명하시오.

이 문제는 삼차함수의 흥미로운 성질을 잘 보여주고 있는 문제입니다. 이 문제는 삼차함수의 어떤 성질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문제일까요? 과연 \(f(x)\)를 \(f'(x)\)로 나눈 나머지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이 문제는 문제에서 요구한 조건이 참임을 증명하는 데 아주 복잡한 계산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계산을 마치고, 한 걸음 더 생각해본다면 이 문제의 출제자가어떤 배경을 가지고 문제를 만들었는지 알아낼 수 있습니다. 문제의 출제자가 생각한 삼차함수의 성질은 어떤 것이었는지, 함께 찾아 보겠습니다.

증명1. 직접 증명

증명을 위한 준비

문제에서 요구한 방정식 \(f(x)=0\)의 실근의 개수는 삼차함수 \(f(x)\)의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개수를 세는 것으로 대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삼차함수 \(f(x)\)의 최고차항의 계수를 \(1\)로 두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y\)축 방향으로 그래프를 \(m\)배 (\(m\ne 0\)) 하더라도 그래프가 \(x\)축과 만나는 점의 개수는 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0아닌 실수 \(m\)에 대해$$x^3+ax^2+bx+c=0\Leftrightarrow m(x^3+ax^2+bx+c)=0$$ 이므로 $$f(x)=x^3+ax^2+bx+c$$로 두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몫과 나머지의 계산

삼차함수 \(f(x)\)의 도함수 $$f'(x)=3x^2+bx+c$$이므로 \(f(x)=x^3+3x^2+bx+c\)를 \(f'(x)=3x^2+bx+c\)로 나눈 나누면 몫 \(Q(x)\)과 나머지 \(R(x)\)를 각각 구하면 $$\begin{align}Q(x)&=\frac{1}{3}x+\frac{1}{9}a\\R(x)&=\frac{2}{9}(3b-a^2)x+c\end{align}$$ 그런데, 나머지가 상수라고 하였으므로 나머지 $$R(x)=\frac{2}{9}(3b^2-a)x+c$$가 상수가 될 조건은 $$3b-a^2=0$$ 즉, $$a^2-3b=0$$입니다.

\(a^2-3b=0\)의 의미

그렇다면 \(a^2-3b=0\)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a^2-3b\)의 값은 방정식 \(f(x)=0\)의 근의 개수와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이미 알아차리신 분도 있을 것 같습니다. 네 그렇습니다! \(a^2-3b\)는 바로 방정식 $$f'(x)=3x^2+2ax+b=0$$의 판별식 $$\frac{D}{4}=a^2-3b$$입니다.

이제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이 확실해 졌습니다. 방정식 \(f'(x)=0\)의 판별식의 값이 \(0\)이므로 방정식 \(f'(x)=0\)은 중근을 갖고, 언제나 도함수 $$f'(x)=3x^2+2ax+b\geq 0$$입니다. 따라서 삼차함수 \(f(x)\)는 실수 전체에서 증가하는 증가함수이므로, 방정식 $$f(x)=0$$의 실근은 \(1\)개 입니다.

증명2. 귀류법을 이용한 증명

귀류법을 사용하여 증명할 수도 있습니다. 이 때 삼차함수의 두 극점을 연결한 직선과 \(f(x)\)를 \(f'(x)\)로 나눈 나머지의 관계를 사용합니다.

먼저 결론을 부정하여,

\(f(x)\)를 \(f'(x)\)로 나눈 나머지가 상수일 때, 방정식 \(f'(x)=0\)의 근은 1개가 아니다

라고 하겠습니다. \(f(x)\)는 삼차함수이고, 치역이 \((-\infty, \infty)\) 인 연속함수이므로 방정식 \(f(x)=0\) 의 실근의 개수는 적어도 \(1\)개입니다. 따라서 방정식 \(f(x)=0\)의 실근이 1개가 아니라면 결국 방정식 \(f(x)=0\)의 근의 개수는 \(2\)개 또는 \(3\)개가 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실수 전체에서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삼차함수의 그래프는 언제나 \(x\)축과 한점에서 만나기 때문에 방정식 \(f(x)=0\)의 근의 개수가 \(2\)개또는 \(3\)개가 되려면, 삼차함수 \(f(x)\)의 그래프는 극댓점과 극솟점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이제 삼차함수의 두 극점을 연결한 직선과 \(f(x)\)를 \(f'(x)\)로 나눈 나머지의 관계 를 생각해보면, \(f(x)\)를 \(f'(x)\)로 나눈 나머지는 두 극점을 연결한 직선의 방정식이 되어야 합니다. 삼차함수의 두 그래프의 극점은 \(y\)좌표가 같지 않으므로 삼차함수의 두 극점을 연결한 직선의 기울기는 \(0\)이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 직선의 방정식은 \(y=c\) (\(c\)는 상수\)가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삼차함수 \(f(x)\)를 그 도함수 \(f'(x)\)로 나눈 나머지는 상수가 될 수 없습니다. 그런데 이것은 \(f(x)\)를 \(f'(x)\)로 나눈 나머지가 상수라는 문제의 가정과 모순이 됩니다.

따라서 방정식 \(f(x)=0\)의 근의 개수는 \(1\)입니다.

문제의 출제자가 생각한 것

결국 문제의 출제자가 주목한 삼차함수의 성질은 다음과 같습니다.

삼차함수 \(f(x)\)를 \(f(x)\)의 도함수 \(f'(x)\)로 나눈 나머지가 상수이면 \(f(x)\)는 실수 전체에서 증가함수이다

먼저 출제자는 극값을 가지는 삼차함수에서 \(f(x)\)를 \(f'(x)\)로 나눈 나머지가 두 극점을 연결한 직선이라는 관계에서 출발하여, \(f(x)\)가 실수 전체에서 증가하거나 감소할 충분 조건을 하나를 찾았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 충분조건을 사용하여 이 문제를 만든 것입니다.

그렇다면 다음 명제는 참일까요? 거짓일까요? (이 물음에 대한 답은 연습문제로 남겨두겠습니다.)

삼차함수 \(f(x)\)가 증가함수이면, \(f(x)\)를 \(f'(x)\)로 나눈 나머지는 상수이다.

10 Comments
oldest
newest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조호영
4 years ago

잘 읽었습니다. f(x)를 f'(x)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상수인 f는 (x-a)^3꼴 밖에 없기 때문에 이런 성질들이 성립하는 것 아닌가요?

조호영
4 years ago
Reply to  godingMath

아 잘못 생각했네요
흠.. f(x)를 f'(x)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상수라는 말은 두 극값이 같다 즉, 극값이 없다는 말인데…
이런 f가 ‘증가함수’인것은 극값이 없으니가 어느정도 자명해보입니다… 이외에 어떤 성질이 또 있을까요?

김대영
3 years ago
Reply to  godingMath

위에서 예를 들어 설명하신 삼차함수는 나머지가 상수가 아닌 예를 들으셨습니다. 나눈 나머지가 상수일려면 f(x) = (x-a)^3 + c꼴인데 상수 c를 안 적으신거에 대해서 언급하신듯 보입니다. 정말 생각하지도 못한 부분을 자세히 설명해주셔서 매우 감사히 좋은 정보를 얻었습니다. 올리신 모든 글을 시간될때마다 꾸준히 읽어야겠습니다. 이렇게 좋은 정보를 늦게 발견한게 아쉬울정도이네요^^
그래도 지금이나마 발견했으니 정말 다행이네요~감사히 배우겠습니다.^^

김대영
3 years ago
Reply to  godingMath

넵~^^ 소중한 정보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조호영
4 years ago

음… WLOG을 처음에 잡아셨는데, 처음에 a의 계수에 따라 f가 증가함수냐 감소함수냐가 결정이 됩니다. (a>0라면 증가함수, a0(증가함수) 일때는 기울기가 0이하인 일차다항식이 나오고
a<0(감소함수) 일때는 기울기가 0이상인 일차다항식이 나오므로
(일반적으로는) 성립하지 않습니다.

조호영
4 years ago
Reply to  조호영

즉, ‘증가함수’가 아니라 ‘일대일함수’인거 같아요.(삼차함수는 정의역, 치역이 (-무한,무한)이니까 일대일대응이라고도 할 수 있게네요)

박상현
2 years ago

오타 있습니다 3b^2-a=0 인데 3b-a^2=0 이라고 되어있네요

안녕하세요
2 years ago
Reply to  박상현

글쓴이께서 3b-a^2=0 을 3b^2-a으로 잘못 적으신 듯 합니다
전개 과정을 보면 상현님께서 잘못 읽으신 것을 알 수 있을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