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차함수 \(f(x)\)는 이중접선을 가지지 않습니다. 이 글에서는 삼차함수의 이중접선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를 알아보고, 다른 문제들이 어떻게 이 사실을 이용하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준비물
삼차함수가 이중접선을 갖지 않는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두 다항식의 그래프가 접할 때의 성질]이 필요합니다.
두 다항식의 그래프가 접할 때의 성질
다항함수 \(y=f(x)\)와 \(y=g(x)\)가 \(x=t\) 에서 접할 때, 두 식을 빼서 만든 방정식 $$f(x)-g(x)=0$$은 중근 \(x=t\) 를 가진다. 즉, \(f(x)-g(x)\)는 \((x-t)^2\)을 인수로 갖는다.
증명
삼차함수 \(f(x)\)가 이중접선을 가질수 없는 것을 보이기 위해서 귀류법을 사용합니다. 귀류법을 사용하기 위해 이중 접선을 가질 수 없다는 것을 부정하고, 증명을 시작합니다.
가정 : 삼차함수 \(f(x)\)는 이중접선 \(g(x)=mx+n\)을 가진다
삼차함수 \(f(x)\)와 이중접선 \(g(x)=mx+n\)의 두 접점의 \(x\)좌표를 각각 \(\alpha\), \(\beta\)라 하면 [두 다항식의 그래프가 접할 때의 성질]에 의해 두 함수의 차 \(f(x)-g(x)\)는 \((x-\alpha)^2\)과 \((x-\beta)^2\)을 인수로 가져야 합니다. 따라서 $$f(x)-g(x)=(x-\alpha)^2(x-\beta)^2Q(x)\tag{1}\label{eq1}$$로 쓸 수 있습니다. 이제 식\(\eqref{eq1}\)의 양변의 차수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먼저 식\(\eqref{eq1}\)의 좌변 $$f(x)-g(x)$$를 살펴보면, \(f(x)\)는 \(3\)차식이고 \(g(x)\)는 일차이하의 다항식이므로 식\(\eqref{eq1}\)의 좌변 \(f(x)-g(x)\)은 삼차식이 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식\(\eqref{eq1}\)의 우변 $$(x-\alpha)^2(x-\beta)^2Q(x)$$의 차수는 \(Q(x)\)를 상수항으로 보더라도 최소 사차식이 되어야 합니다. 즉, 식\(\eqref{eq1}\)은 $$삼차식=사차이상의\ 식$$이라는 것을 모순을 주장하고 있는 셈입니다 . 그렇다면 이 모순은 어디서 생긴 것일까요? 바로 삼차함수 \(f(x)\)가 이중접선을 갖는다고 가정한 것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따라서 삼차함수는 이중접선을 가질 수 없습니다.
관련 문제
이렇듯 두 다항식의 차를 구하고, 이 식의 차수와 접점의 개수를 비교하여 모순을 이끌어 냄으로써 접점의 개수를 제한하는 방법은 여러 문제에서 종종 사용하는 기법입니다. 다음 문제를 풀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 2017학년 9월 모의고사 나형 21번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