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하지만 확실한 테크닉 – 수열의 합의 위끝과 아래끝 변환

이 글에서는 수열의 합의 위끝과 아래끝을 변환하는 소소하지만 확실한 테크닉을 소개합니다.  이 테크닉은 수열의 합을 보다 간단한 형태로 계산할 때 사용할 수 있는데, 종종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발견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 글에서는 이 테크닉을 사용하는 법을 소개하고, 2019학년도 6월 모의고사  20번(가형 나형 공통) 문제를 이 테크닉을 사용해 풀어보겠습니다.

$$\sum_{k=m}^na_{k}=\sum_{k=m-p}^{n-p}a_{k+p}$$

이 식을 언뜻 보면 문자의 수가 많아 조금 복잡해 보입니다. 하지만 사실, 이 식의 의미는 아주 간단합니다. 이 식의 의미는 수열의 합을 구할 때, 수열의 일반항을 나타내는 문자 \(k\) 에 어떤 수 \(p\) 를 더하면 반대로 수열의 합의  위끝과 아래끝은 \(p\) 만큼 빼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변환 공식을 사용하는 예를 보겠습니다. 만약 $$\sum_{k=1}^n(k+1)^2$$을 구하고 싶을 때, 이 것을 직접 계산한다면 $$\begin{equation}\begin{aligned}\sum_{k=1}^{n}{(k^2+2k+1)}&=\sum_{k=1}^n{k^2}+2\sum_{k=1}^n{k}+\sum_{k=1}^n{1}\\&=\frac{n(n+1)(2n+1)}{6}+2\cdot\frac{n(n+1)}{2}+n\end{aligned}\end{equation}$$으로 조금 귀찮은 계산을 해야 합니다. 하지만 일반항을 $$(k+1)^2\rightarrow k^2$$으로 바꾼다면 이 수열의 합을 보다 간단히 구할 수 있습니다.

  • 먼저 수열의 일반항에 들어있는 \(k\) 에서 1을 빼줍니다.  즉, $$k\rightarrow k-1$$로 바꾸면 일반항은 $$(k+1)^2\rightarrow ((k-1)+1)^2=k^2$$으로 바뀌게 됩니다.
  • 반대로, 수열의 합의 위끝 \(n\) 과 아래끝 1에는 1을 더해서 $$\begin{aligned}위끝:n&\rightarrow n+1\\아래끝:1&\rightarrow 2\end{aligned}$$로 바꾸어 줍니다.

따라서 이 수열의 합은 $$\begin{equation}\begin{aligned}\sum_{k=1}^n(k+1)^2&=\sum_{k=2}^{n+1}k^2\\&=\sum_{k=1}^{n+1}k^2-1^2\\&=\frac{(n+1)((n+1)+1)(2(n+1)+1)}{6}-1\\&=\frac{(n+1)(n+2)(2n+3)}{6}-1\end{aligned}\end{equation}$$ 이 됩니다.

평가원 문제에 적용해보기

다음은 2019학년도 6월 모의고사 수학 가형과 나형 20번으로 공통 출제된 문제입니다.  (가)와 (나), (다)의 빈칸을 채우는 문제인데,  (가)와 (나)를 일단 구해놓았다고 가정하고 (다)를 구하는 과정만을 살펴보겠습니다.

(…중간생략)

2019학년도 수학영역 가형,나형 20번에서 인용

이 문제를 세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처음 부분입니다.

(1),(2)에 의하여 \(2a+2b+2c+d=2n\)을 만족시키는 음이 아닌 정수 \(a, b, c, d\) 의 모든 순서쌍 \((a,b,c,d)\)의 개수 \(a_n\)은 $$a_n=(가)+(나) 이다.$$

이 문제에서 $$(가)=_4\mathrm H_n,(나)=_4\mathrm H_{n-1}$$이므로 $$a_n=(가)+(나)=_4\mathrm H_n + _4\mathrm H_{n-1}$$이 됩니다. 이어서 두번째 부분을 생각해보겠습니다.

자연수 \(m\) 에 대하여 $$\sum_{n=1}^m{(나)}=_{m+3}\mathrm C_4\tag{*}$$이므로

\((나)=_4\mathrm H_{n-1}\) 이므로 이 부분은$$\sum_{n=1}^m{(나)}=\sum_{n=1}^m{_4\mathrm H_{n-1}}=_{m+3}\mathrm C_4$$ 라는 것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아주 재미있는 부분입니다. 왜 이 문제는$$\sum_{n=1}^m{(나)=_{m+3}\mathrm C_4}$$ 이 된다는 것만 알려주었을까요? 혹시 $$\sum_{n=1}^m{(가)}=\sum_{n=1}^{m}{_4\mathrm H_n}=?$$의 값도 구해주어야 하는 것은 아닐까요? 그렇다면 이 값은 또 어떻게 구할까요?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이 식의 값은 식(*)을 변환하면 손쉽게  찾아낼 수 있습니다. 식(*)에서 일반항 자리에 있는 \(n\) 에 1을 더하고 위끝과 아래끝은 반대로 1을 빼주면 $$\sum_{n=1}^m{_4\mathrm H_{n-1}}=\sum_{n=0}^{m-1}{_4\mathrm H_n}=_4\mathrm  H_0+\sum_{n=1}^{m-1}{_4\mathrm H_n}=_3\mathrm C_0 +\sum_{n=1}^{m-1}{_4\mathrm H_n}=_{m+3}C_4$$ $$\sum_{n=1}^{m-1}{_4\mathrm H_n} = _{m+3}\mathrm C_4 – _3\mathrm C_0=_{m+3}\mathrm C_4 -1$$ $$\therefore \sum_{n=1}^{m}{_4\mathrm H_n} = _{m+4}\mathrm C_4 -1\tag{**}$$

이제 (*)과 (**)을 사용하면 (다)를 구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 세번째 부분입니다.

$$\sum_{n=1}^8{a_n}=(다)$$

$$\sum_{n=1}^8{a_n}=\sum_{n=1}^8{_4\mathrm H_n}+\sum_{n=1}^8{_4\mathrm H_{n-1}}$$ 입니다. 식(*)에 의해 $$\sum_{n=1}^8{_4\mathrm H_{n-1}}=_{11}\mathrm C_4\tag{1}$$이고, 식(**)에 의해 $$\sum_{n=1}^8{_4\mathrm H_{n}}=_{12}\mathrm C_4-1$$입니다. 따라서 $$\begin{equation}\begin{aligned}\sum_{n=1}^8{a_n}&=\sum_{n=1}^8{_4\mathrm H_n}+\sum_{n=1}^8{_4\mathrm H_{n-1}}\\&=_{12}\mathrm C_4-1+_{11}\mathrm C_4\\&=495+330-1\\&=824\end{aligned}\end{equation}$$

정적분의 위끝과 아래끝의 변환

정적분의 위끝과 아래끝도 같은 방법으로 변환할 수있습니다. 이 변환 방법과 적용은 다른 글에서 다루어 보겠습니다.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